어제 (6월 20일) 프랑스 파리에서 2030 엑스포 유치 신청국의 프리젠테이션이 있었습니다. 올림픽 유치, 월드컵 유치는 알겠는데 엑스포 유치는 또 뭐야? 싶은 분들을 위해. 그리고 2030 부산 엑스포를 위해 엑스포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지 알아보기로 해요.
엑스포: 혁신과 문화의 글로벌 쇼케이스
엑스포(Expos)는 World Exposition의 줄임말입니다. 말하자면, 전 세계의 국가들과 단체들이 그들의 성과, 발전, 그리고 문화적 다양성을 보여주기 위해 모이는 국제적인 전시회라는 의미인데요. 이러한 대규모 행사는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혁신을 촉진하며 국제 협력을 도모하는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올림픽만큼이나 국제 사회의 이슈가 되는 엑스포에 대해 알아볼까요.
1. 엑스포의 목적
엑스포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목적으로 개최됩니다.
a. 혁신 기술 및 첨단 과학 소개
엑스포는 국가와 기업이 최신 기술의 발전과 과학적 발견을 보여주고 글로벌 과제에 대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따라서 엑스포에는 최첨단 기술, 프로토타입 및 시연을 통해 방문객들에게 미래를 엿볼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만들어주고 있어요.
b. 문화 홍보
박람회는 참가국들의 전통, 예술, 음악, 요리, 그리고 유산을 강조함으로써 문화적 다양성을 보여줍니다. 문화 전시관은 방문객들이 세계의 다른 문화, 관습, 전통을 탐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실감 나는 경험을 할 수 있게 해 줘요.
c. 경제성장 촉진
엑스포는 무역, 투자, 관광을 촉진함으로써 경제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엑스포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파트너십을 맺을 수 있을 뿐아니라 전 세계 고객들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는 기회를 얻지요. 또한 엑스포는 개최 도시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쳐 방문객 유치, 인프라 개발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2. 대전 엑스포
우리나라에서는 1993년 8월 7일 대전에서 엑스포를 개최하였습니다. 대한민국이 최초로 엑스포를 개최했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었지요.
행사 기간 : 1993년 8월 7일 - 11월 7일
주제 : 새로운 도약으로의 길
부제 : 전통 기술과 현대 과학의 조화, 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재활용
참가국: 108개국, 33개 국제기구
마스코트: 꿈돌이
유치과정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후, 대한민국 정부는 새로운 업적과 국제적인 활동을 모색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대규모 박람회 개최에 대한 예산 문제와 국내 반대로 인해 개최가 지연되었는데요. 사실 당시에 국제 박람회 기구는 1999년까지는 엑스포 개최를 공인하지 않겠다고 모라토리움을 선언한 바가 있었어요. 왜냐하면 엑스포 개최의 경쟁과 비용 증가로 인해 행사의 부실화가 우려되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국제 박람회 기구의 저예산 신개념 엑스포 개최 계획에 착안하여 대전 세계박람회를 어필하였고 이로 인해 1993년 대전 세계박람회는 국제 박람회 기구의 공인을 받게 되었습니다.
대전 세계박람회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교류와 발전을 강조하는 행사였습니다. 저예산을 내세워 유치한 행사였지만, 실제 규모는 그다지 작지 않았습니다. 108개국과 33개 국제 기구뿐 아니라 200여 개 기업이 참가하고 1조 8천억 원을 투자한 행사였죠.
영향
개발도상국 최초
대전 세계 박람회(EXPO)가 1993년에 개최된 것은 엑스포 역사상 최초로 개발도상국에서 열렸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대전 엑스포를 통해 개발도상국인 한국이 성공적으로 주최하고 인정받은 것은 개도국들에게 자부심과 개발 의지를 북돋우는 계기가 되었으며, 다른 개도국들에게도 엑스포 개최의 가능성을 보여줬습니다.
정보화 엑스포
대전 엑스포는 정보화 엑스포로 평가되었는데, 그 이유는 행사장에서 사용된 첨단 컴퓨터 시스템과 전산 시스템인 '모아드림'이 엑스포 주요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첨단 시스템은 전시관 예약, 안내, 미아 찾기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상황 관리와 위기 대응에도 활용되었어요.
과학기술의 대중화
대전 세계 박람회는 또한 과학기술 대중화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다양한 체험 전시관을 통해 국민들에게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알리고, 첨단 기술 제품을 미리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덕분인데요. 관람객들은 전시물을 관찰하는 것뿐만 아니라 직접 기기를 다루거나 실습을 해보면서 과학기술의 원리와 작동법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대전 엑스포에서는 자기 부상열차, 전기 자동차, 태양전지 자동차, 태양전지 거북선과 같은 첨단 미래 교통수단을 자체 기술로 개발하여 관람객들에게 차세대 교통수단의 비전을 제시했어요.
대전시 발전에 기여
엑스포를 통해 대전은 지역 발전을 앞당기는 데 큰 역할을 하였으며, 도로 개설, 확장, 상하수도 시설, 도시 기반 시설 등의 확충과 도시 환경 정비, 생활환경 개선 등이 이루어졌습니다. 이를 통해 대전시의 지역 개발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도시 환경은 전면적으로 개선되었으며, 국제적인 행사를 개최함으로써 시민들의 의식도 한 단계 높아졌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양한 종류의 소금 (0) | 2023.06.26 |
---|---|
스타벅스는 어떤 기업일까요? (0) | 2023.06.25 |
건강한 관계를 위한 효과적인 의사소통 (0) | 2023.06.14 |
열 전달의 이해 : 대류, 복사, 전도 (0) | 2023.06.14 |
게임 중독은 왜 문제일까요 (0) | 2023.06.14 |
댓글